메인콘텐츠 바로가기

  • 주일낮예배주일 오전 11:00
  • 주일찬양예배 주일 오후 2:00
  • 수요기도회(하계)오후 8:00
                   (동계)오후 7:30
  • 새벽기도회(하계)오전 5:00
                   (동계)오전 6:00
  • 유치·아동부주일 오전 09:00
  • 중고등부주일 오전 09:00
  • 청년부주일 오전 11:00

하회마을에 대해서

본문

hahoe.jpg

 

 

 

  icon5.gif 하회마을관리사무소 : 054)854-3669

  icon5.gif 하회마을관광안내소 : 054)852-3588

  icon5.gif 하회마을 보존회 : 054)853-0109

 

icon5.gif 하회마을 오솔길 : http://www.hahoe.pe.kr

icon5.gif 하회탈 박물관 : http://www.tal.or.kr

icon5.gif 안동닷컴 : http://www.andong.co

 

 

 

 

 

 


icon5.gif 버스로 오는 길
[안동방면에서 오시려면]
안동역 앞 시내버스 정류소에서 또는 안동초등학교 정문 근처 시내버스46번을 타면 40분 후 종점인 하회도착.
[예천방면에서 오시려면]
예천에서 오는 경우 풍산에서 46번버스


icon5.gif 자가용으로 오는 길
[안동방면에서 오시려면]
안동방면이나 중앙고속도로(서안동 IC에서 예천, 풍산방면으로 내려)를 이용할 경우 풍산읍 우회도로로 안교 사거리에서(도로 표지판 : 지보 하회방면) 좌회전하여 중리 삼거리를 거쳐 (안내표지판을 확인한 후) 하회마을로 들어오면 되고

[예천방면에서 오시려면]
산업도로에서 풍산에 도착하기 전 풍산읍 방향으로 내려와 안교사거리에서 (도로 표지판 : 상주 풍양방면. 지보 하회방면) 우회전 10m 전진하면 도로 우편에 하회마을 8km 도로 표지판이 있고 계속 5km를 달리면 중리 마을지나 삼거리에 도착하게 되는데, 거기서 좌회전하여 (하회마을 안내판을 보고) 계속 이어지는 정겨운 오솔길 같은 도로를 따라 아름다운 산세를 구경하면서 들어오면 된다.

 

 

 

 


icon5.gif 하회마을 일반현황
   -
104가구. 인구 235명 거주
   - 1980년 12월 31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 23호로 지정
   - 1984년  1월 10일 중요민속자료 제 122호로 변경

[문화재]
   - 국보(2점) : 징비록(제132호), 하회탈(제121호)
   - 보물(4점) : 양진당(제306호), 충효당(제414호), 류성룡 종손가유물(제406호),
                     류성룡 종손가 문적(제160호)
   - 사적(1점) : 병산서원
   - 중요민속자료(10점) : 북촌댁(제84호),원지정사(제85호), 빈영정사(제86호), 옥연정사(제88호),
                                   겸암정사(제89호), 남촌댁(제90호), 주일제(제91호), 하회마을(제122호),
                                   하동고댁(제177호), 류시주가옥(제87호)
   - 무형문화재(1점) : 화회별신굿 탈놀이
   - 전통 민속놀이 : 선유 줄불 놀이

[기타시설]
   -
영모각 (서애선생 유물 전시관)
   - 하회별신굿 탈놀이 전수관 (탈놀이 전수 교육장)
   - 하회동 탈 박물관 (하회탈, 우리나라 전국탈, 외국탈, 전시)
   - 예술관 (우리나라 및 외국 역대 유명서화 전시 및 사군자 교육지도)

[중요시설]
   -
하회교회 예배당(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054)852-9418
 

 

 

 


살아서 꿈틀대는 푸르디 푸른 청산을, 아름다운 산수화 병풍처럼 사방으로 둘러치고, 명경 같이 맑은 강줄기가 마을을 휘감아 도는 곳, 자연이 살아있고 사람이 살아있고 과거와 현재가 함께 공존하며, 하늘과 땅과 사람들이 자연과 정답게 어우러진  마을이 아름다운 지역에 세워진 하회교회는 온 세상을 향해 하나님의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을 품에 안고 서있는 하회 예배당은 전통 한옥 식으로서 섬세하고 부드러우면서도 감히 범하기 어려운 위용을 간직하고, 포근한 사랑과 우아함을 함께  연출 하고 있다. 이제 이토록 아름다운 교회, 하회교회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icon5.gif하회교회가 있는 하회 마을은? 현재 마을 현황을 살펴보자 

[하회에 대한 이해]
하회교회 이야기를 하려면 먼저 하회마을 이야기를 조금은 해야할 것 같다. 그래야 교회의 이야기가 실감나게 들려질 것이고, 여기 그처럼 완고했던 유교의 중심지에 복음이 전해지고, 야생초처럼 밟히hahoe_img.jpg면서도 끈질기게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가는, 복음의 생명력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천년을 넘나드는 하회의 이야기를 어떻게 해야 정확하게 들려 줄 수 있을까 고심하던 본인은, 누구보다도 이 지역의 역사를 잘 알고 계시는, 김영준 장로 (광덕교회 시무)의 글 "하회 오솔길"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하기로 했다.(저자인 김장로님의 허락을 받았음) 거의 대부분을 가감 없이 그대로 인용하였으며, 어떤 부분은 편집하기로 하였다.

김영준 장로의 개인 홈페이지 http://www.hahoe.pe.kr를 방문하여 하회 오솔길을 거닐어 보면, 하회지역의 산증인이시며 이 지역을 누구보다도 아끼고 사랑하시는 그분의 따뜻한 마음과 사랑으로 적은 생생한 역사의 사실들을 원문으로 만날 수 있다. 귀중한 사료를 인용 할 수 있도록 쾌히  허락해 주셨음을 감사드리면서 이제 이야기를 시작해보기로 하자.

하회(河回)란 이름은 물이 돈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하며 1980년 12월 31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 23호로 지정되고 1984년 1월 10일 중요민속자료 제 122호로 변경 지정된 마을로서 가장 한국적인 옛 모습과 전통이 잘 보존되어 있고 자연경관이 수려하며 선비정신이 살아 숨쉬는 곳이다.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보고자했던 영국 여왕은 하회마을을 찾았다.  (1999년 4월 21일) 엘리자벳 여왕이 하회마을을 다녀간 후로는....온 세계가 새롭게 주목하였고 세계각지에서 하회마을을 보고자 떼를 지어 몰려오고 있다. 일반 관광객들, 논문자료를 얻기 위해 혹은 학술연구 차, 또는 수학 여행으로 들르는 학생들로 하회마을은 늘 사람들로 북적댄다. 하회마을 사람들은 오늘도 과거와 현재를 한마당에 펼쳐놓고 수많은 관광객들과 함께 아름다운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마을이 세상에 또 있을까... 

하회마을은 안동에서 서쪽으로 50리 거리에 있으며 안동 시내에서 버스로 약 40분 걸린다. 동쪽으로는 태백산맥인 해발 271m의 화산(花山)이 평지에서 높다랗게 솟아 있고, 남쪽에는 일월산맥인 남산(南山)과 서쪽으로는 화산 너머로 역시 일월산맥인 원지산(遠志山)이 나즉하게 뻗어 있으며 그 뒤로는 마늘봉(峯)이 드리워져 있다. 마늘봉은 그 생김새가 마치 마늘과 같다는 데서 생겨난 이름이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오늘에 이르렀는데, 한편으로는 만은봉(晩隱峯)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봉우리는 하회 남산 뒷편에 뽀족하게 모습을 드러낸 마늘봉이며 달리는 문필봉(文筆峯)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마을의 인재배출과도 무관치 않은 문필봉이라는 연상 때문인지 더욱 정겹다. 마을 사람들은 일월산 지맥인 남산을 감투봉이라고도 부른다.

낙동강이 동에서 흘러 서쪽에서 다시 북쪽으로 구비쳐 마을을 안고 돌아 흘러 하회(河回) 라고 불리워 왔다. '물도리동' 이라 하는데, 다른 말들은 하회(河廻), 곡강(曲江), 하상(河上), 강촌(江村), 하촌(河村) 등으로도 불리워졌다. 시성 두보(杜甫)의 시에 나오는 '청강일 곡포촌류(淸江一曲抱村流)'를 줄여서 표현한 눈에 선 한 마을이다.

특히 마을 북쪽으로 화천 대안(對岸)에 깎아지른 듯 솟은 암벽은 천하의 절경이다. 그것이 부용대인데, 그앞으로 은모래 금모래가 드넓게 펼쳐진 백사장과 나란한 만송정(萬松亭) 소나무 숲 또한 빼놓을 수 없는 하회마을의 장관이다. 이 소나무 숲은 겸암선생이 원지산과 북쪽의 부용대 사이의 허(虛)한 곳을 메우기 위한 일종의 '비보(裨補)숲'으로 조성된 것이라 한다. 그러나 더욱 사실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부용대 절벽의 거친 모습을 가리기 위함'이라는 말이다. 겸암선생의 강학(講學)하던 장소인 빈연정사에 올라 부용대와 낙동강을 바라보면 이내 공감할 수 있는 의견이다. 

하회마을의 모둠살이는 낮은 구렁 형태의 골을 따라 주택들이 옹기종기 모여있고 완만한 자연경사와 삼면을 감싸 흐르는 낙동강 물줄기로 인해 동서남북으로 좌향을 제각기 잡고 있어 여느 마을에서는 보기 드문 가옥배치를 보여준다. 마을의 주택 좌향을 '제각기'나 '동서남북 사방'이라고들 한다. 그러나 더욱 적절한 표현은 '24방위'일 것이다. 학문이 있고 문화를 아는 사람들이 무수히 배출된 양반마을, 하회이므로 학문과 문화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 자연과의 조화가 그것이다. 그 조화가 각양 각색의 가옥의 좌향과 형태의 구조를 결정했다고 본다. 삼면을 감싸 흐르는 강을 바라보기 위한 의도였을 것이다. 마을 안에는 웅장한 고기와집과 솟을대문 그리고 정감 어린 초가집들이 지어져 전통마을로손색이 없는 풍산(豊山) 류씨(柳氏) 총본산일 뿐 아니라 강산의 수려함으로도 국내의 제일이다.

 

 

 


icon5.gif하회류씨의 노른자 터전 - 허씨와 안씨 이야기
하회마을은 '허씨(許氏) 터전이며 안씨(安氏) 문전(門前)에 류씨(柳氏) 배반(胚盤)이라'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또한 가장 명쾌한 마을사이기도 하다. '배판'으로 더욱 많이 불려진다. 하회마을에 대한 글을 쓴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단골로 인용하는 문구이다. '터전'은모두가 아는 뜻이며, '문전'의 경우도 이해가 간다. 그러나 '배반'은 다르다. 혹자는 믿음과의리를 저버림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전에 살던 성씨를 몰아내고 하회를 차지하기 위해 그들을 배반했다는 등. 그러나 전혀 그런 뜻이 아니고 '배반'이란 알의 노른자 위에 희게 보이는 원형hahoe_img1.jpg질로서 조류나 파충류의 몸체를 만드는 중요한 부분을 말한다. 곧 안씨와 허씨들이 마을의 기초공사를 했다면 그곳에다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씨족은 류씨라는 말이다. 하회는류씨의 명당(明堂)이란 표현이 적절하다. 

고려말에 정승을 지내던 김해(金海) 허씨(許氏) 한 분이 조정에서 물러나 팔도의 경치 좋은 곳을 유람하다. 안동을 경유하게 되었다. 하회의 터가 너무나 좋은 나머지 웃골 거먹실(남산팔선대 맞은편 지역)에 살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실은 강 건너 건짓골(乾池谷)에 허정승의묘소가 있어 자손인 김해 허씨들이 묘소를 찾아왔었다. 하회탈을 만들었다고 알려진 허도령역시 김해 허씨이다.

허씨들이 터를 잡고 산지 백년 뒤 광주(廣州) 안씨(安氏) 안성이란 분이 경상감사로 부임하여 각 고을을 순시하던 중 하회에 와서 보니 산수가 너무나 좋아 화산 기슭 향교골에 터를잡아 살기 시작했다. 천곡(泉谷) 안성(安省)이란 분의 아들 안종생(安從生)은 사헌부 감찰까지 지냈는데 배소(裵素)의 사위이기도 하다. '광주안씨대동보'에 의하면 안성은 전서공(典書公, 류종혜)과 동시대 인물이기 때문에 전서공이 고개 밖(峴外)에 터를 잡던 시기와 같은 때에 하회에 와서 살기 시작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안씨는 하회에 들어와 35대까지 내려왔다.

는 것만 보아도 그 역사가 유구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마을 근처에 안씨 묘소들이 산재해 있으며 삼십년 전까지 한 집이 남아있다가 떠난 뒤로 지금은 한집도 남지 않았다. 

'안씨들이 피를 천석이나 했다'는 말도 전한다. 부용대로부터 부계(富溪)쪽으로 만여평이나 광활하게 펼쳐진 농토에서 수확된 것으로 추정된다.풍산 류씨들이 입촌하여 점차로 번성하게 되자 허씨들이 먼저 한 두집 떠나고 이어서 광주안씨들이 뒤를 이었다. 그리하여 하회마을은 류씨 집성촌으로 잡으면서 얼마 안되어 벼슬길이 열렸다. 중종대에 입암(立巖) 류중영(柳仲영, 1515~1573)은 과거에 급제한 뒤 벼슬이 관찰사에 이르렀고, 이분이 두 아들을 두었는데 바로 겸암 류운룡(1539~1601)과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이다.

하회는 옛부터 삼백여 대촌(大村)이라 불려왔다. 이것은 하회 1, 2등을 합해서 부른 말이다. 갑술년(1934)대홍수에 유실되어 현지는 본동에 120여호에 류씨는 70여호 정도이다. 지금 하회마을을 이루고 사는 류씨들은 본래 풍산 상리에 살아서 본(本)이 풍산(豊山)이다. 고려말 호장을 지낸 휘 절(節)을 시조로 하는데 7세 공조전서(工曹典書) 류종혜(柳宗惠)공이 화산에 세 번(가장 가물 때, 홍수때, 평년에)이나 올라가서, 물의 흐름이나 산세며 기후조건등 풍수지리설에 의해서 지금의 양진당에 집을 짓기로 결정 했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지금의 마을 터는 늪이어서 일견 마을 터로서는 적합지 않았다. 그러나 풍수지리설에 의해서 산태극(山太極) 수태극(水太極)형상으로 명당이라고 하지만 부용대 위에서 하회마을을 내려다 보면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으로 보이니 연꽃은 수면에 닿을락 말락 해야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법이어서 허씨나 안씨들의 터는 물에서 너무 높아서좋은터가 아니니 계란으로 말하자면 허씨들은 흰자위 부분에, 안씨들은 노른자 부분에 해당되고 양진당 터는 계란의 배반 (병아리씨눈)에 해당되는 곳이기에 택했다고 전해진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2-11-27 22:39:00 자유게시판(으)로 부터 이동되었습니다.]